한국 경제가 ‘기적의 성장’ 시기를 지나 드디어 긴 터널 속으로 들어섰다. 과거 고속 성장을 구가하며 ‘한강의 기적’을 이뤘던 한국이 이제는 저성장의 깊은 수렁에서 길을 잃어가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이제는 1%대 성장이 ‘뉴 노멀’이 될 수 있다”라고 말한다.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던 일이었지만, 지금 한국 경제는 본격적인 침체의 시기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구 구조, 부동산 시장의 변화, 기업과 가계 부채의 급증 등 모든 것이 이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기업과 가계 부채, ‘위기의 서막’인가
최근 5년 동안 한국의 기업과 가계 부채는 1,500조 원 넘게 증가했다.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인 위기를 견디기 위해 대출과 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결과다. 문제는, 이 자금이 미래를 위한 투자로 쓰이기보다는 부채 상환과 당장의 생계를 위한 지출로 소모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으로 많은 자금이 흘러들어 갔지만,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촉진되기보다는 오히려 자산 거품이 형성되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기업들의 부채가 쌓이면서 더 이상 성장을 위한 투자를 할 여력도 줄어들고 있다.
인구 감소라는 ‘보이지 않는 폭탄’, 다가오는 20년 후
또 하나의 큰 문제는 인구 감소로 인한 경제 구조의 변화다. 한국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가 줄어드는 나라 중 하나가 되었다. 인구 구조의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불가피하다. 특히 경제 활동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20년 후, 한국 경제에 예상치 못한 충격을 줄 수 있다. 그간 한국 경제는 풍부한 노동력과 자본을 바탕으로 성장해왔지만, 앞으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며, 새로운 세대의 경제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일부에서는 출생률 감소가 당장 복지 지출을 줄일 수 있다며 긍정적인 시각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문제는 20년 후”라며 경고하고 있다. 오늘 태어나는 아이들이 20년 후 노동 시장에 진입할 때, 경제 활동 인구의 수가 절반 가까이 줄어들게 된다면 경제 전반에 걸쳐 불균형이 발생할 것이다. 이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맞물려 사회 전반의 부양 부담을 크게 늘리고,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부동산 시장의 미래: 지방은 소멸, 대도시는 쇠퇴할까
부동산 시장 또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에 힘입어 부동산 가치가 꾸준히 상승했지만, 앞으로는 상황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수도권의 부동산 수요는 여전히 높지만, 지방은 점차 소멸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인구 감소로 인해 지방 도시들이 급격히 쇠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 또한 앞으로 지방의 부동산 시장이 점차 침체하고, 이는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결국 지방 소멸로 이어질 수 있으며, 대도시 역시 인구 감소와 함께 경제 활력을 잃어갈 수 있다.
한국 경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뒤따르나
많은 전문가들은 한국이 일본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일본은 1990년대 거품 경제 붕괴 이후 장기 불황에 빠졌고, 이로 인해 지난 30년 동안 경제가 사실상 정체 상태에 있었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부채 증가와 인구 감소, 고령화 문제로 인해 비슷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이 일본과 다른 길을 걷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성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러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다.
저성장 시대에 맞는 자산 관리, ‘분산 투자’가 답이다
그렇다면, 일반 가계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저성장 시대에 적합한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을 권장한다. 과거에는 부동산이 가장 안정적인 자산으로 여겨졌지만, 앞으로는 글로벌 자산 분산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리츠(REITs)와 배당주 같은 인컴 자산을 확보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부동산 투자 역시 국내에만 국한하기보다는 해외의 우량 부동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한국 경제는 분명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지금과 같은 저성장, 인구 감소, 부채 증가 속에서 우리에게 남겨진 선택지는 제한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미래를 대비하는 자산 관리 방법을 찾아야 한다. 경제 구조의 변화와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우고, 경제 상황에 맞는 유연한 대처가 필요할 것이다.